안녕하세요.
오늘은 유튜브에서 수익창출 하기까지의 경험을 담아보려 합니다. (이제 수익 창출 완료)
아직 돈을 번 것은 아닙니다.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을 달성했을 뿐입니다.
돈을 벌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위해 어느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는지, 어떤 것을 하였는지를 공유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번의 제가 운영해본 채널은 ChatGPT나 Claude같은 LLM을 이용한 스토리 만들어서 사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 것이었습니다.
생각보다 별 다른 건 없었습니다.
ChatGPT를 이용해서 스토리를 만들고 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영상 제작하고, 유튜브에 업로드 하는 일이었죠.
다들 아시겠지만 먼저 수익창출을 위해 해야 하는 조건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수익 조건
1차 컷 구간 (22일차 달성)
- (필수) 구독자 500명
- (택일) 영상 시청시간 3000시간 또는 쇼츠 300만 뷰
2차 컷 구간 (44일차 달성)
- (필수) 구독자 1000명
- (택일) 영상 시청시간 4000시간 또는 쇼츠 1000만 뷰
여기서 드는 질문은 과연 필수 조건과 택일 조건 중 어떤게 더 빠르게 차냐 입니다.
경험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 경우엔 구독자 허들이 훨씬 높았습니다.
제가 유튜브 보는 경험에 비추어 보아도 그냥 보는 것보단 구독을 누르고 좋아요를 누르고 알람 설정을 하기위해
클릭하는데 더 많은 고민을 하게되니까요. 그리고 유튜브에 그런 행위에 대해서 겁을 주는 사람도 많습니다.
"좋아요, 구독 잘못 누르면 시청 알고리즘이 꼬여서 내가 원하는 영상을 못 보게 될 수 있다"
라고 말이죠.
알고리즘이 정말 중요하다고 하는데, 알고리즘을 제대로 타지 않으면 꽤 오래 걸립니다.
같이 준비했던 분들 중 제가 늦은 편이기도 합니다.
2. 그렇다면 영상은 얼마나 올렸을까요?
이것도 경험에 따라 다르지만 제가 올린 총 영상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롱폼 (30분 내외) : 45개
- 숏츠 (40초 ~ 1분) : 20개
이것 역시 경험에 따라 정말 다릅니다.
제 영상중 아직까지 아웃풋이 가장 좋았던 영상은 조회수 3.7만회에 구독자는 450명 가까이 만들어냈고 시청시간도 9천시간을 해치운 30분짜리 영상이었습니다. (사실 이건 애교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이런 영상 3개정도만 아니, 압축해서 1개만 있었어도 한방에 수익창출이 가능했을 겁니다.
3. 유튜브는 알고리즘이 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유튜브 알고리즘 유튜브 영상을 공부해봐도 사람들 이야기 하는 것들 다 다르고, 그대로 실천한다고 해도 쉽게 되진 않습니다. 왜냐면 각 유튜버들의 주제와 시청자 타게팅 대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특정 연령대가 몰리는 영상일수도, 특정 주제만 다루는 채널일수도 있기 때문에 그에 맞는 전략을 가져가야 합니다.
물론 기본적인 이론은 어느정도 동일하지만 이번에 해보면서 연령대별로 맞춤으로 제작하지 않으면 정말 어렵다는 것을 많이 깨달았습니다.
4. 대본은 어떻게 만드나요?
스토리를 직접 만들어도 되고, 벤치마킹을 이용한 방법으로 해결 할 수도 있습니다.
저에 경우엔 두개를 믹스해서 했습니다.
GPTs 또는 Claude Project를 이용해서 정리된 프롬프트를 활용해서 해결하였습니다.
뭐 두개 모두 한방에 옳은 대본을 뽑진 못합니다.
아시겠지만, 30분짜리 대본을 뽑아내려면 공백 제외하고도 1만자 분량을 뽑아내야 하는데 response가 길어서 잘리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현재는 대본 뽑는데 대략 40분 ~ 1시간 가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대강 답이 나오죠?)
5. 대본은 알겠는데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요?
사실 저도 이게 가장 큰 의문이었습니다만, 요새 나오는 vrew, capcut등의 소프트웨어에서 처리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구독 플랜을 올리고 사용하면 튜토리얼에 있던 것들보다 많은 것을 활용할 수 있기에 굳이 프리미어, 파이널 컷 프로, Avid 같은 고급 소프트웨어를 쓰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영상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6. 그럼 영상 만드는데 얼마나 걸려요?
이것도 정말 중요한 내용인데요. 부업을 하려면 본업이 있다는 전제하에 길어야 최대 3~4시간 밖에 못 쓴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제가 처음 영상을 만들어보니 최대 8시간까지도 소요가 되었습니다.
"30분짜리 영상하나 만드는데 8시간이 걸리는데 영상을 45개까지 수익창출까지 되는 조건이라면 누가하나요?"
라고 묻는 분들이 분명 계실겁니다. 하지만 영상은 언제 터질지 모릅니다. 진짜로 그렇습니다.
이것도 내가 퀄리티를 얼마나 쓰느냐, 얼마나 신경 쓰느냐의 차이며 빠르게 만들면 렌더링까지 하고 업로드할 영상 만드는데 50분도 안 걸립니다. 내가 어느정도 신경을 쓰느냐에 차이이고 템플릿을 얼마나 잘 만드느냐의 싸움이기에 여러개를 만들어보면서 감이 와야 평균 퀄 이상 내면서 적정한 영상이 나옵니다.
현재는 저의 기준으로는 30분 짜리 영상에 평균 2시간 정도를 쓰고 있습니다.
7. 제목이랑 썸네일도 만들어야죠?
솔직히 영상이고 뭐고 이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Youtube 채널은 땅이고, 컨텐츠는 가게입니다. 제목은 간판이고, 썸네일은 메뉴판이지요.
내가 밥 먹으러 돌아다니다가 간판을 먼저보고 메뉴에서 먹을만한게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서 들어가는 겁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불하는 비용은 영상이 플레이되는 시간이구요.
그래서 "맛있어~ 일단 들어와봐!" 같은 호객행위가 분명 제목과 썸네일에 들어가야 합니다.
유저들은 그걸 보고 시청하러 들어오게 되구요.
여기서 유튜브는 신처럼 모든 채널을 보다가
- 와 이집 맛집이겠네.
- 이 집 평이 좋은데?
- 이 집 너무 홍보가 안되서 좀 띄워줘야겠네!
이런 것들을 ML등을 활용하여 추천 데이터를 추출한 뒤 사용자별로 사용자 홈 또는 추천 영상에 찌라시처럼 피드를 넣어줍니다.
롱폼도 숏폼도 마찬가지에요.
시청자의 비위도 맞춰야 하고 유튜브의 비위도 맞춰야 합니다.
사실 전 아직도 이 것을 어떻게 맞춰야 할지 못찾았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벤치마킹을 하고 나름대로 Develop하고 영상별 통계 데이터들을 살펴보면서 계속 수정해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나 주변에서 "유튜브 알고리즘 이거면 됩니다." 이런 영상들 쉽게 믿지 마시고 경계해서 바라보세요.
해당 알고리즘의 개발자가 아닌 이상, 누구도 제대로 된 답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개발자라고 해도 100% 다 알진 의심스럽습니다)
8.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수익 정지 위험
유튜브는 신이라 했습니다. 정책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면 수익정지로 페널티를 주죠. 많은 유튜버들이 이거 한방에 무너졌습니다.
항소하는 방법을 몰라 처음엔 정말 많이 망설였지만 같이 진행하던 멘토님이 도와주셔서 사건은 빠르게 해결되었습니다.
대처는 정말 빠른 곳이지만 방법을 모르면 이 채널의 수익창출은 포기하고 새로운 채널을 파거나, 조건을 다시 맞춰야 합니다. 과연 이 고된 노가다 퀘스트 같은 것을 다시 할 수 있을까요?
9. 이것도 자동화가 가능할까?
전 Devops Engineer입니다. 당연히 자동화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겠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100%는 불가능합니다.
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코딩으로 자동화할 만한 것들을 찾으니 mcp를 이용한 대본 생성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TTS까지도 가능은 할거 같네요 (python으로 하고 있으니까요).
RVC까지도 어찌어찌 API 형태로 변환하면 불가능할 거 같진 않은데요. (현재는 Applio 사용중)
가장 큰 문제는 대본 생성한 것이 가장 영상의 기초가 되는 것인데 이 대본이 제대로 나오느냐? 였습니다.
저 역시도 지금 대본 생성하는데만 적게는 30분 많게는 1시간을 소모하고 있는데 품질은 LLM에서 아직까지 한방에 나오도록 좋은 프롬프트를 짜내지 못했습니다.
또한 1만자 수준의 대본을 뽑아내는데 response가 짤리는 문제도 있었기에 사실상 자동화는 1%도 못 해내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이건 향후에 계속 연구해서 해볼 생각입니다.
10. 통곡의 벽
유튜브에서 주는 시련이랄까요?
특정 구독자 선에서 인지 어떤지 모르겠지만 막히는 구간이 존재합니다.
저에게 있어선 구독자 500, 750, 850, 990이었는데요.
다른 분들은 또 다르겠지만, 저기서 노출이 계속 막히면 정말 힘듭니다.
딱 막히면 저 구간동안 조회수 확 내려가고 내가 올린 유튜브 1일동안 0건인 경우도 보일 수 있고, 많이 보여야 100뷰 언더도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내가 고생해서 몇시간동안 영상 만들었더니 영상 아무도 안본다고?
이걸 견딜수 있는 멘탈이 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한국 사람들 특성상 빨리빨리 정신이 발동되서 이걸 어떻게 하면 타계할 수 있을까 하면서 이것저것 건드리다보면 유튜브 신이 노하여 노출을 더 막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쉽게 저도 손을 쓸수가 없었어요.
구독자 1000명 오면서 이거 신경 쓰는게 저는 정말 힘들었습니다.
위의 그래프처럼 나오는 거 보다 보면 포기하는 사람도 정말 많이 나오고 저 역시도 정말 불편합니다. 저 스샷 찍었던 당시에는 영상 한편당 6시간씩 할때였거든요...
11. 그래서 하라는 거에요? 말라는 거에요?
권해드림
-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꾸준히 할 자신이 있는 사람,
- 개발자 수준의 자동화 또는 꼼수로라도 편하게 하려고 계속 Develop을 시도하시는 분들
안 권해드림
- 통곡의 벽을 못 버티는 사람 : 이거 몇일이 될지 몇 주가 될지 모릅니다
- 사소한 댓글에도 흔들리는 유리멘탈을 가진 사람 : 간간히 하나씩 꽃히는데 비수처럼 보입니다.
이건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참을 수 있는 멘탈만 된다면 노가다 성이므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그게 안된다면 사실 권해드리고 싶진 않아요.
만드는 방법은 저도 배우고 삽질하고 있는 입장이라 시원하게 말씀 드리긴 어렵습니다.
돈 주고 알려드릴 스킬도 아직은 부족합니다. (애초에 그럴 생각으로 작성한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돈 주고 배우기엔 너무 비쌉니다.
다만, 진지하게 고민하고 계신다면 저에게 링크드인 DM 또는 개인톡 주시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설명을 해드릴 수는 있습니다.
사용중인 툴이나 어떤 형태로 작성되는지 정도는 알려 드릴 수 있을거 같아요.
이번에 강의 들으면서 느낀점은 엔지니어의 기준으로 봤을땐
- 유튜브의 기본 알고리즘
- 수익창출 막힐때 어드바이스를 해주는 것 (사실 이게 크긴 합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영상 편집 기본스킬, 썸네일 만들 수 있는 수준의 포토샵 지식이 있었다면
학습 비용과 시작할 기회비용은 충분히 세이브 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https://www.linkedin.com/in/drumgoon
LinkedIn 로그인 또는 회원 가입
1B 회원들이 함께 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세상 비즈니스 인맥을 쌓고 넓히세요. 커리어 계발에 유용한 정보와 기회의 문으로 들어오세요.
www.linkedin.com
https://open.kakao.com/me/niceguy61
드럼군님의 오픈프로필
드럼을 잘 못치는 개발자
open.kakao.com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사다난했던 2024년 리뷰 회고 (0) | 2024.12.24 |
---|---|
AWS re:Invent 2024 Day 2 (0) | 2024.12.04 |
AWS re:Invent 2024 2일차 키노트 내역 정리 (0) | 2024.12.04 |
AWS Industry week 2024 참관 후기 (0) | 2024.11.09 |
AWS COMMUNITY DAY 2024 후기 Track1 (Day 1)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