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화

Github Action + ECS + Fargate를 통한 CI/CD 구현 3 1 ~ 2번에서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일단 AWS 계정은 필수 1. Github에 Repository 만들기 2. Docker로 이미지 만들어 보기 3. AWS IAM으로 ECR 업로드 가능한 권한 생성 4. Github Action으로 ECR에 Push까지 하기 이제 AWS에서 몇 가지 세팅과 도메인 세팅을 추가 해야 한다. 먼저 ECS 차례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ECS/latest/developerguide/Welcome.html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란 무엇입니까? -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 기계 번역으로 제공되는 번역입니다. 제공된 번역과 원본 영어의 내용이 상충하는 경우.. 더보기
Github Action + ECS + Fargate를 통한 CI/CD 구현 2 https://docs.github.com/ko/actions GitHub Actions 설명서 - GitHub Docs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리포지토리에서 바로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를 자동화, 사용자 지정 및 실행합니다. CI/CD를 포함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을 검색, 생성 및 공유하고 완 docs.github.com Github과 Docker를 이해했다면 이젠 실제로 Github Action을 통해 빌드를 해볼 차례다. 문법은 기본적으로 yaml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은 {repository}/.githubh/workflows/{filename}.yaml 로 작성한다. 단, 제대로 해당 파일을 적용하려면 repository의 default branch에 반드시 해당.. 더보기
Github Action + ECS + Fargate를 통한 CI/CD 구현 1 (요약) 흔히 일반 스타트업에선 개발자가 인프라도 일부 만져야 하며 빌드 및 배포까지 하며 인프라 운영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나 또한 그렇게 시작했지만, 개발자 1 ~ 2명이 개발 / 빌드 / 배포 / 운영까지 하기엔 가혹하다. 밤낮없이 서버까지 봐가며 컨텐츠 개발일도 해야 한다. 워라벨이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방법으로 CI/CD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이해 하고 공부하기 시작했다. 이 편에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CI/CD중 Github과 ECS를 이용한 배포를 자동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하고 사용하는 것을 알아보고자 한다. AWS에선 CodeSeries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CodeCommit의 사용법이 생각보다 어렵다. 개발자가 사용하기엔 비용도 싸고 기능도 거의 비슷하지만 IAM 권한 세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