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Python를 이용해서 lofi youtube를 자동으로 생성해보자. (1)

https://www.youtube.com/@OfficeLofiatNight

 

Office Lofi at Night

이 채널은 개발자, 디자이너, 크리에이터 등 누구나 코딩, 공부, 작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로파이 재즈, 힙합, 재즈합 등 편안한 비트와 감성적인 멜로디로 하루의 생산성을 높

www.youtube.com

 

 

나는 현재 휴직하면서 다른 회사를 기다리고 있다.

 

그간 AWS 자격증도 도전하고 있지만, 역시 공부만 하는 것은 무료하기도 하고 AWS를 회사 리소스가 아닌 개인 비용으로 하기엔 생각보다 비용이 비싸서 허들이 있다.

 

그래서 부업으로 할만한게 뭐가 있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youtube 알고리즘에 돌아다니던 부업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보게 되었다. 특히 자동화에 집중하여 보고 있었다.

주로 자동화 할만한 것들이 보이는 것은 블로그와 스마트스토어였다.

블로그는 자동화는 가능하지만 글을 만져야 하기에 손이 더 가는 것도 있었고, 스마트스토어는 내가 직접 배송을 하기도 하고 검수도 해야 했기에 생각보다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라 생각했다.

 

그 와중 lofi youtube로 돈 벌기가 눈에 들어왔다.

 

사실 나는 ASMR나 Lofi를 많이 듣는다. 잠 잘때 틀어놓고 자면 잠이 잘 오는 편이라 자주 듣는 편이다.

 

음악을 좋아해서 어떻게 하면 이걸 수익화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가 생각보다 youtube를 만드는 작업이 생각한 것 보다 손이 덜 가는 작업이라는 것을 알았다.

 

준비물

- 음원

- 배경용 gif 동영상

-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 youtube 제목, 설명, chapter 기능 생성

 

진입할때 보이는 허들

- 저작권은 어떻게 하지?

- 동영상 편집 해본적이 없는데?

- 디자인감각이 없어서 gif 못 만드는데?

- 글 재주가 없어서 제목이나, 설명 이런거 못 만드는데?

- 장시간 만들려면 중간에 넘기고 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할 것 같은데? (내가 불편했던 점)

 

음원

따라 해보라 하는 유튜브들을 보면 대부분 AI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저작권은 AI가 생성하고 AI 업체에서 youtube의 저작권을 보장해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믹스 또는 음원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크레딧이 자꾸 차감이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것처럼 youtube에 나오는 lofi 음악 대비 퀄리티가 꽤 딸리는 느낌이 있었다.

이건 프롬프트를 열심히 해봤지만 제대로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생각한 방법은 아예 저작권을 보장받는 음악을 구독해서 사용하자였다.

대표적인 곳이 epidemicsound.com이었고, 1달 무료를 이용해서 진행해보기로 했다.

수익창출 전까진 개인 플랜 ($119.88/y), 수익 창출 이후엔 상업용 플랜 ($203.88/y)의 비용이 든다.

이 방법이 음원 생성을 위한 AI 크레딧을 제공하는 것보다 퀄리티도 높고 비용도 저렴하다라는 결론에 다달아서 이대로 진행하기로 한다.

그리고 일단 이력관리를 위해서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동영상 편집을 위해서 음원을 다운로드 받는다.

lo-fi로 검색하고 맘에 드는 음악 플레이리스트 추가 및 다운로드

그리고 내가 제공하는 유튜브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받으려면 자기 프로필에서 유튜브 채널을 추가해야 한다. 그래서 반드시 epidemic 계정 가입시 youtube 채널을 미리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배경용 gif 동영상

이건 내 재능으로 당장 어떻게 하긴 어렵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참고유튜브에서 알려준 내용은 생각보다 심플했다.

 

1. lofi youtube를 찾아서 이미지를 캡쳐해라.

2. AI에게 이미지를 설명하게 하라.
3. lasco.ai 같은 사이트에서 생성된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이미지를 만들어라.

4. runwayml.com 같은 곳에서 움짤을 만들어라.

 

똑같이 해보기로 했다.

인터넷에서 lofi를 검색하면 많이 나오는 이미지들

나는 지브리풍의 이미지가 좋아서 비슷한 걸 찾아서 해보기로 했다.

perplexity로 해본 결과

저 프롬프트로 이미지를 만들어달라고 하면 지브리 스튜디오라는 프롬프트때문에 곧이 곧대로 만들어주지 않는다.

그래서 lasco.ai 라는 업체의 기능을 이용해보기로 했다.

너무 길면 잘리므로 프롬프트는 반드시 조정해야 한다.

원하는 스타일은 알아서

다른건 몰라도 16:9는 눌러줘야 한다!

 

이미지가 맘에 들때까지 generate를 한다.

이미지가 맘에 든다면 upscale을 누르고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배경용 gif 동영상

이제 youtube의 배경이 될 gif (움짤)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도 AI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나는 runwayml.com을 이용했다. 다른 곳들도 많은 것은 알고 있다.

Gen-2 선택 후 이미지를 업로드 하고 motion brush를 이용해서 편집한다.

브러시 색상순으로 움직일 곳을 지정했고, 디테일한 설정을 위해 일부 영역은 Auto-detect Area를 해제했다.
오른쪽에 보이는 진행바
눈을 0.5로 돌렸더니 눈이 너무 이상하게 움직여서 Ambient를 0.2로 수정하고 다시 돌려본다.

 

재수 없으면 크레딧이 미친듯이 빠져나가니 유료를 쓰던 해서 세심하게 신경써서 만들기로 한다. 다 되었으면 다운로드!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예전에 동영상 편집할때 여러가지 소프트웨어를 썻었다.

- avid (이건 너무 어려워서 포기)

- final cut (맥 전용이라 맥 없으면 힘듬)

- premier pro (그나마 좀 익숙)

 

요새 capcut이나 vrew같은 툴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상업용으로는 결국 결제를 해야 하고 해서 일단 내가 익숙한 프리미어 프로를 써보기로 했다.

4초짜리가 붙었다. 하지만 이걸 무한 루프 해보면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수 있을 것이다.
뒤에 한개 더 붙이고 뒤 클립 오른쪽 > 클립 속도/지속 시간 > 뒤로 재생 클릭

이렇게 한다음 무한으로 플레이 리스트가 끝날때까지 무한 컨트롤 CV하면 된다. 그리고 편집의 용이성을 위해 추가된 클립들을 중첩으로 해서 한방에 묶는다. 난 일단 30분 정도로 만든다음 묶었다. 클립들 우클립 누를때 2시간 꽉 채우면 컴이 터질거 같다.

그래픽 카드가 3060이라 그런지 좀 느리긴 하다.

 

이제 youtube 제목, 설명, chapter 기능 생성만 있으면 준비 완료다. 다음편에 계속...